01 모자보건
[모자보건의 이해]
1. 모자보건의 정의
모성과 영유아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보건활동
국제연합 아동기급(UNICEF)
2. 모자보건사업의 중요성
1) 다음세대의 인구자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2) 건강관리와 질병예방 시 효과가 큼
3) 질병에 걸리기 쉽고, 치명률이 높거나 장애가 되기 쉬움
4) 전체인구의 50~70%
5) 사망을 감소시킴
3. 지역사회보건사업에서 모자보건의 중요성
1) 전 인구의 3분의 2
2) 예방사업임
3) 국가 국력의 동기
4) 모성사망률과 영아사망률은 모자보건사업의 평가 척도
5) 어린이 지능 발달이 이룩되는 중요한 시기
4. 신생아 건강관리를 통한 주산기 사망의 예방
[모성보건 관리]
1. 산전관리의 목적
1) 임신중 발생가능한 합병증 최소화, 모성 사망 저하
2) 조산, 사산, 신생아 사망률 저하
2. 고위험 모성보건 대상자
1) 유전질환, 가족력 임산부
2) 20세 미만 35세 이상 임신부
3) 조산, 사산, 거대아 출산한 경력이 있는 임산부
4) 고혈압, 당뇨, 갑상선질환, 심장병, 자가면역 질환자
3. 정기적 검진
1) ~7개월까지 4주에 1회
2) 8~9개월 2주에 1회
3) 10개월 매주
4. 산전관리시 체중, 혈압 측정의 목적 (+소변검사로 단백뇨)
임신성 고혈압, 임신중독증 파악
5. 영양관리
1기 평상시와 동일, 2기와 수유부는 340kcal, 3기 450kcal 더 공급
6. 분만 전구증상
1) 태아 하강감
2) 태동감의 감소
3) 가진통
4) 빈뇨
5) 이슬
6) 체중감소
7) 양막파열(파수)
8) 자궁경부 거상
7. 분만 시기에 의한 분류
1) 유산 : 20주 이내 분만
2) 사산 : 28주 이후에 죽은 아이 분만
3) 조산 : 37주 이전에 출산
4) 정상분만 : 37~42주이내 분만
5) 과기산(만산) : 42주 이후에 출산
8. 산욕감염 : 산욕열, 주로 연쇄상구균, 분만 후 24시간이후~10일사이 2일이상 38도이상의 열
[신생아 건강관리]
1. 출생 후 24시간 이내의 신생아 간호
머리를 낮추고, 태변배출 유무 관찰, 제대 절단부위 출혈 관찰, 40도 물 통목욕
2. 활력징후 : 호흡 30~60, 맥박 120~140, 체온 36~37
3. 실내온도 22~26도, 습도 55~65%
[모자보건사업]
1. 모자보건 사업 대상자
1) 임산부 : 임신중 또는 분만 후 6개월 미만 여성
2) 영유아 : 출생 후 6년미만(5세까지)
3) 신생아 : 출생 후 28일 이내
4) 미숙아
5) 선천성 이상아
6) 모성 : 임산부와 가임기 여성(15~49세)
2. 모자보건 지표 : 영아사망률, 산전 진찰률, 영유아 예방접종률, 모성사망률, 주산기 사망률 등등 조사망률(x)
[모자 보건 센터]
1. 모자보건수첩에 기재되지 않는 내용은? 부
2. 예방접종 전후의 주의사항
3. 영유아 보건사업
1) 건강 상담
2) 영양 지도
3) 예방 접종
4) 안전 지도
4. 영유아 보건사업의 목적
1) 건강상담
2) 감염병 예방
3) 불구를 조기발견
4) 사고방지 건강한 성장 돕는다
5. 영유아 클리닉
1) 설치 시 고려사항
조용한 곳, 위험물 치움, 장난감 교육자료, 화장실과 수도시설은 가까이
2) 건강관리 내용 : 구강상태 관찰, 예방접종 관리, 식이와 영양 상담, 성장 발육평가 but 질병치로(x)
3) 간호조무사의 업무 : 준비, 측정, 접수 및 안내, 기록표 및 약속카드 작성, 이상 상태 보고
[모자보건사업의 추진 방향]
임산부 및 영유아 건강관리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의 장애발생 예방과 모유수유율 제고
영유아 사망 및 장애를 방지, 건강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