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병원환경 조성 돕기
[사회 심리적 환경]
1. 입원환자의 불안요소 극복
1) 간호 및 처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
2) 환자와 함께 있어주면서 환자의 말 경청
[물리적 환경]
1. 편안한 환경
1) 실내온도 20~22도
2) 실내습도 40~60% (기관지계통 질병은 약간 높은 50~60%)
3) 환기 (편안한 환경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4) 환기방법 (어떤 방법이든 환자에게 직접 바람이 닿지 않도록 커튼이나 스크린을 친다)
2. 안전한 환경
1) 물리적 상해 (낙상방지-침대 난간 올리기, 바닥의 물이나 기름을 즉시 닦아 미끄럼 방지)
2) 화학적 상해 (처방된 약이라도 과량섭취시 상해를 입게 됨)
3. 병원 화재 시 대피요령
1) 화재실(불 난 병실)의 환자 우선 대피
2) 내원객 -> 거동 가능 환자 -> 경증 환자 -> 중증 환자 -> 직원 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함)
4. 청결한 환경
1) 바닥 청소 시에는 비질을 하지 않음(공기중 먼지발생)
2) 병실 바닥에 물이나 용액을 엎질렀을 때 빨리 닦아야 함(사고의 원인이 됨)
5. 물품 관리 및 세척
1) 유리, 알루미늄, 에나멜제품
(1) 피나 점액이 묻으면 찬물에 헹군 다음 더운 비눗물로 씻는다
(2) 과산화수소수는 응혈된 혈괴를 제거하는데 효과적
(3) 소변기는 매일 아침 솔로 닦고 소독약으로 헹굼
2) 고무 제품 (빨리 찬물에 헹군 후 더운물과 비누로 씻음)
[입퇴원 간호]
1. 입원환자에 대한 간호
1) 가장 우선적으로 환자 방이 준비되었는지 확인하고 환자를 맞아들여 지정된 병실로 안내 (병실준비)
2) 가져온 약물을 복용하지 않도록 설명
3) 감염병환자가 가지고 있던 물품은 고압증기멸균 소독법으로 소독한 후 봉투에 넣어 보관
2. 퇴원 시 환자 간호
1) 의사의 퇴원 지시 후 퇴원 가능 (의사의 지시없이 퇴원할 경우 자의퇴원서 필요)
2) 환자 퇴원 시 교육 (추후 방문일자와 장소, 운동, 투약법, 활동수준, 바른자세, 주의해야할 음식, 이상증상)
3) 퇴원환자의 병실 관리 (종말소독 : 질병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병실을 청소, 침상을 소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