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비)

06 검사 돕기

AN24 2023. 3. 21. 18:01
반응형

 

반응형

1. 금식하지 않아도 되는 검사

    1) 혈액검사의 대부분

        Cf. 금식해야 하는 혈액검사 (당뇨검사, 콜레스테롤 검사)

    2) 골밀도 검사

    3) 폐기능 검사

    4) 심전도 : 심장의 리듬을 보는 것

    5) 흉부 X-ray (chest X-ray)

    6) 복수천자

 

[일반 검사]

1. 혈액검사

     1)  전혈구 검사 (CBC)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2)  화학검사 (LFT)  : 간수치, 신장수치, 콜레스테롤

     3)  혈액응고검사 (PT/PTT) : 지혈정도, 수술이나 시술 전 시행, 일주일동안 아스피린 끊기

2. 소변검사

     1) 일반소변검사

          (1) 목적 : 질병유무

          (2) 소변채취 방법 : 첫소변 50cc는 보내고 중간뇨 30~50cc 채취

     2) 소변배양검사

          (1) 목적 : 원인균을 찾고 맞는 항생제를 찾는 검사

          (2) 소변채취 방법 : 무균적 - 단순도뇨

     3) 24시간소변검사

          (1) 첫소변은 버리고 마지막 소변까지 모은다(정해진 시간에 생성된 소변만 채취)

          (2) 24시간 요검사물 채뇨중이라는 팻말 표시

          (3) 특수용기 사용(방부제)

 

3. 대변검사

     1) 목적

          (1) 기생충 검사, 세균배양검사, 잠혈검사(위장관 출혈여부-위암)

          (2) 음식물이나 소화액 분석, 대변의 성상 관찰

     2) 잠혈검사

          (1) 3일전부터 붉은 색 야채, 철분제, 육류섭취 금지

          (2) 소변, 물, 혈액(생리)가 섞이지 않도록 채취

          (3) 검사물은 바로 검사실로 안될 시 냉장고로

 

4. 객담검사

객담 채취 시기 : 이른 아침 첫 기침

 

[특수 검사]

# X선 이용 검사

 - 개방형 질문 (환자분 성함이 어떻게 되십니까?)

1. 흉부 X선 촬영

     금식 필요 없음

2. 정맥 신우 조영술 (IVP)

     1) 정맥을 통하여 조영제를 투여하여 신장으로 소변을 배출시키면서 신장 요관 방광을 관찰하는 검사

     2) 장에 가스가 차면 뒤에 있는 신장이 안보이므로 판독하기 좋게 장을 비워야 함(관장 + 금식)

3. 바륨 관장

     1) 직장 결장의 병변 확인, 하부 위장관 조영술

     2) 바륨관장 후 변비가 올 수 있으므로  시술 후 수분섭취를 권장

4. 상부 위장관 촬영법

     1) 8시간 동안 금식

     2) 금식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 검사 연기

     3) 왜? 음식없는 깨끗한 상태의 위를 관찰해야 하므로 음식물과 병변을 구분하기 위함

 

# 천자

1. 천자 - 외과적 무균술

     1) 흉강 천자

          (1) 목적 :  흉강 내 공기나 액체 제거

          (2) 검사도중 움직이거나 기침 금지

          (3) 자세 : 테이블에 엎드리거나 누운 자세로 환측 팔을 올린다,

     2) 복수 천자

          (1) 목적 : 복수로 인해 장기 압박 또는 호흡곤란 해소

          (2) 자세 : 좌위, 반좌위 (호흡하기 편하게)

     3) 요추 천자

          (1) 목적 : 뇌척수액 채취 (뇌수막염 진단)

          (2) 천자 시 자세 : 새우등 자세 (요추 3-4번 간격 넓히기 위해)

          (3) 천자 후 자세 : 앙와위 (뇌척수액 새는 것 방지)

 

# 위 세척

# 심전도 검사

 

# 내시경 검사

1. 기관지 내시경 검사

     <주의 사항>

     기관지 내시경 검사 후 환자의 호흡상태를 자세히 관찰 하도록 한다

2. 위 내시경 검사

3. 대장 내시경 검사

 

# 자기공명 검사 (MRI)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