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배변돕기

[침대에서의 배변]
1. 침대용 변기 사용
1) 협조가능 환자
환자가 엉덩이를 스스로 들어올릴 수 있는 경우
환자의 무릎을 구부리고 손을 엉덩이 밑에 받쳐 잠깐 들어올리는 동안 변기를 그 아래에 넣는다
2) 협조 불가능 환자 - 무의식, 전신마비
환자가 간호조무사 쪽으로 등을 대고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엉덩이에 변기를 대준다
3) 변기를 대어준 후 금기가 아니면 침대머리를 30도 정도 올려주고 침상난간을 올려줌
배에 힘이 들어가서 배변에 도움

[관장 enema]
항문으로 관을 넣어 직장 내로 용액을 주입하는 과정
체위 : 좌측 심스체위
분변 매복 : finger enema 실시
1. 종류
1) 배변관장 : 연동운동을 촉진 - 배변, 수술 전 처방 = 청정관장
2) 윤활관장 : 변을 부드럽게 - 배변
3) 구풍관장 : 가스 제거
4) 정체관장 : 장내에 오랫동안 보유하기 위한 관장
(1) 케이엑살레이트 관장 - 고 칼륨혈증
(2) 칼리메이트 관장 - 고 칼륨혈증
(3) 락툴로스 관장 - 간경변 시 뇌병변을 일으키는 암모니아 제거
5) 결장세척
6) 수렴관장 : 지혈
2. 관장의 일반적인 지침
1) 직장관(Rectal Tube : R-tube)
2) 수용성 윤활제 - 장점막 보호
3) 관장액 온도 : 40.5~43도
4) 관장 시 체위 : 좌측 심스위
5) 직장관 삽입 길이 : 7.5~10cm, 배꼽방향으로
6) 관장통 높이 : 항문, 침대에서 40~60cm (50cm 안팍인가…)
7) 배변관장 10분정도 보유
8) 정체관장 1시간 이상 보유
9) 용액주입시
(1) 통증호소
① 약 30초간 멈춘 후 다시 서서히 주입
② 조절기로 용액의 속도를 늦춤
③ 관장통의 높이를 조금 낮추어(40~45)보면서 상태 살핌
(2) 잘 들어가게 하기 위해 복부 힘 빼기 "아~" 하거나 심호흡하기
(3) 장내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하기
① 준비 시 조절기를 열어 직장관까지 용액이 약간 흘러나오게 한 후 다시 잠금
② 관장통에 용액이 약간 남아 있을 때 조절기를 잠그고 직장관을 뽑는다
3. 장루(인공항문) 세척
1) 목적 : 인공항문을 세척하여 장내용물의 배출을 돕기 위함
2) 간호
(1) 일정한 시간에 스스로 세척할 수 있도록 격려
(2) 영구적인 인공항문을 가진 환자들도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고 격려
3) 주의사항
(1) 점액질이나 피가 섞인 대변, 장루색깔(적갈색, 보라색, 검은색)이 변한 경우 장루 괴사가 의심되므로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
(2) 냄새나 가스형성 음식(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양파, 무, 치즈 등)은 피한다(외출 시)
(3) 대사성산증 증상을 주의(묽은 변->두통, 복통, 혼돈, 졸림, 혼수)
(4) 인공항문 주위 피부 간호방법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