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한방간호의 유래 및 내용
[한방 간호의 유래]
1. 소문 "장기법시론"
한방 간호 중 가장 오래된 문헌, 간호역할의 중요성 엿볼 수 있다.
[한방 간호의 내용]
1. 동양 의학의 주요 특징
1) 정신적인 면 > 육체적인 면
2) 인간을 대자연에서 파생된 소우주로 간주
3) 생리현상이나 병적 변화현상도 대자연의 운행과정에서 생긴 것
4) 상호 연관과 유기적 기능을 가진 통일체
2. 한방 간호의 역할
1) 정신
(1) 7정 : 희(기쁠), 노(성낼), 우(근심), 사(생각), 비(슬플), 공(두려울), 경(놀랄)
(2) 노-간, 희-심, 사-비, 비우-폐, 공경-신
2) 기후
(1) 병실은 한온을 적당히 유지
3) 음식
(1) 마음의 병은 온식을 금하며, 폐의 병은 한식을 금한다
(2) 오미
간-신(매운것), 심장-함(짠것), 비장-산(신것), 신장-감(단것), 폐-고(쓴것)
4) 기거
(1) 병실을 설비가 간단, 청결, 광선 충분, 공기 유통
(2) 만성병 환자는 가벼운 운동
(3) 열병이나 쇠약한 환자는 절대안정
3. 환자의 마음가짐
한방에서는 환자의 마음가짐을 가장 강조
4. 제형의 종류
1) 탕제 : 용기에 약물과 물을 넣고 가열하여 성분을 삼출, 급성질환
2) 산제 : 마른 약제를 세말하여 체로 쳐서 고르게 혼합, 가루약
3) 환제 : 세말에 꿀이나 물, 풀을 넣어 일정한 크기로 환약을 만드는 것, 만성질환, 씹어먹는다
4) 고제 : 약물을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진하게 달여 꿀이나 설탕의 보조물을 넣고 농축, 반유동 상태, 내복, 외용
5) 엑기스제 : 유효성분을 전출한 약액을 농축
6) 시럽제 : 약물을 탕전하여 찌꺼기를 제거시킨 농후액이나 분말에 백당의 농후 용액을 넣어 만든 것
5. 전약법
달일 때 시간과 화력은 약물의 효능에 근거하여 정해야 함, 매번 한번에 복용하는 양용량은 성인은 100~120ml, 소아는 성인의 반
6. 복약법
1) 복약시간 : 식후(두통, 안질, 인후병), 식전(위,간,신장), 취침전(진정제, 윤장통변약), 위급한 중환자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음
2) 복약방법
(1) 일반적으로 따뜻하게 복용, 1일3회
(2) 조금씩 자주 먹는다(허약체질, 노인, 어린이, 구토증상, 강한 약성, 독성이 있는 약)
(3) 산제 분제 : 꿀과 같이 물에 약을 타서 먹거나 캡슐에 채워넣고 삼킴, 한꺼번에 입안에 털어 넣어 삼키면 인두를 자극해 기침유발
(4) 환제 : 과립이 작은 것은 끓인물로 삼킴, 큰것은 몇번에 걸쳐 나누어 삼킴, 수환은 온수로 용해후 복용
(5) 고제 : 끓인 물에 타서 복용, 직접 입안에 붓고 삼키면 안됨(목에 달라붙어 토하거나 소화흡수가 쉽지 않다)
3) 명현현상 : 약을 처음 복용 시 나타나는 거부반응, 일시적으로 증상 악화되거나 원치 않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
7. 오장육부
1) 심(心)-간(肝)-비(脾)-폐(肺)-신(腎)
2) 심 : 신(神)이 깃들어 있음
3) 오장육부 표리관계
간-담, 비-위, 신-방광, 심-소장, 폐-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