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한방병원 간호관리의 실제
1. 맥진 = 진맥= 절진
심장박동에 의해 생긴 파동이 동맥파를 따라 말초로 전파하는 것을
요골동맥상에서 지두로 촉지하여 질병상태를 판단하는 진단 행위
[자침의 관리]
* 자침과 애구(뜸)는 외치법
1. 자침 : 각종 침구를 사용하여 일정부위를 자극
2. 체위 : 누운 자세(의사는 정확한 취혈, 조작하기 편리, 환자는 편안한 자세)
체질 허약자, 정신 과민자, 예민한 초진환자, 현기증 예방
3. 침 치료에 필요한 부위를 모두 노출
4. 발침 시 주의사항 : 신체에 남은 침이 없는지 발침 개수를 재확인, 발침 후 출혈 시 지그시 눌러줌
5. 자침 시 간호
1) 환자 상태를 관찰하여 가슴이 답답하거나 현훈 시 의사에게 보고
6. 침의 종류
1) 호침 : 아프고 저릴때
2) 삼릉침 : 사열, 출혈, 발설(피뽑는 것)
3) 지침 : 안마
7. 침의 부작용
1) 체침 : 박힌 침
2) 훈침 : 침 맞다가 어지러움, 즉시 침을 빼고 따뜻한물 마시거나 인중 중충혈을 눌려주고 백회혈에 쑥뜸
3) 만침 : 침이 구부러짐
8. 침 적응증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의 장애에 의한 마비질환(중풍, 안면신경마비)-가장 유효, 약물 남용
9. 침 금기
1) 몹시 피로, 몹시 배부를때, 몹시 배고플때, 갈증이 심할때
2) 안구, 고막, 심장, 폐, 후두, 고환, 외생식기, 유두, 임산부
3) 급성심장질환, 출혈, 암환자
[구법] 뜸
1. 구법 : 소작, 자극하는 방법
2. 구법의 작용 : 중혈(적혈구, 혈색소 증가), 면역, 반사(대응하는 기관에 반사적 영향), 유도, 신진대사, 혈액순환
3. 구법의 적응증 : 만성 위통증 환자의 상복부
4. 구법의 간호 : 수포를 주사기로 흡인하고 소독약바름
5. 뜸의 금기 : 침과 같다, 심장이나 혈관이 드러난 곳, 얼굴
[양생술]
1. 양생술 : 자연과 호흡하고 심신의 안정과 조화를 유지
2. 양생술의 내용 : 자연에 순응, 심신의 안정, 음식의 절제, 규칙적인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