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레포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프로이트의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본인은 어떤상황에서 부정이라는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서술하시오.

AN24 2023. 11. 26. 12:19
반응형

1. 방어기제란?

자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여, 감정적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의식이나 행위를 가리키는 정신분석 용어.

[지식백과-두산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70016&cid=40942&categoryId=31531]

 

자아가 원초아의 욕구와 초자아의 요구 사이에 조정을 하는 과정에서 원초아의 욕구가 강해지면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때 이러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신 책략

[지식백과-심리학용어사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208&cid=41991&categoryId=41991]

 

2. 방어기제의 종류

[지식백과-심리학용어사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208&cid=41991&categoryId=41991]

억압(repression)
억압은 프로이트가 ‘방어’라는 용어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했을 만큼 전형적인 방어 기제로, 억압을 사용하면 충동이나 욕구 혹은 좋지 않은 기억이 의식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무의식에 머무르게 된다. 이러한 억압의 결과 우리는 충동이나 욕구를 의식하지 못하거나 불유쾌한 사건을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억압을 통해 의식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충동이나 욕구, 좋지 않은 기억 등은 무의식에 머무르기 때문에 꿈이나 말 실수 등을 통해 표출된다는 것이 프로이트의 주장이다. 교통사고와 같이 큰 사건의 당사자가 막상 그 사건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대표적인 억압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부정(denial)
부정이란 특정한 일이나 생각, 느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고통스럽기 때문에 인정하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부정은 지각과 관련한 것과 인지와 관련한 것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보거나 들으려 하지 않고 지각한 것을 왜곡해서 회피하는 경우이고, 후자는 지각은 온전히 했으나 인지하는 과정에 공상이 들어가 현실을 다르게 받아들이는 것이다. 부정의 대표적인 예로는 불치병 진단을 받은 환자가 자기는 그런 병에 걸렸을 리 없다면서 부인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부정은 주로 미성숙한 방어 기제로 분류되지만, 자아가 충분히 성숙한 상태에서도 외부의 상황이 극히 치명적일 때 부정이라는 방어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투사(projection)
투사는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생각이나 욕망 등을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나 외부 환경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실제로는 내가 타인을 증오하는데, 이 감정을 타인에게 투사함으로써 오히려 타인이 나를 증오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투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투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부와 외부, 자기와 자기가 아닌 다른 대상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하고,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이우경, 이원혜, 2012).

동일시(identification)
동일시는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한 인물을 닮는 것으로, 이는 자신의 자존감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자신과 동일화, 즉 닮아 가게 하여 그 두려움을 극복하는 방어 기제이다. 무서운 아버지 밑에서 양육된 아들이 아버지와 닮아 가는 것이 동일시의 한 예이다. 동일시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따를 수 없는 욕망을 억제하고 외부의 요구를 내면화하여 자아를 변형시키는 방어적인 동일시와, 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자아를 바꿔 나가 자율성을 획득해 가는 발달적인 동일시로 구분할 수 있다(이우경, 이원혜, 2012).

퇴행(regression)
퇴행은 미성숙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으로, 스스로 자신이 없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행동 등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어린 시절로 되돌아감으로써 불안을 감소하는 방법이다. 퇴행이 발생하는 것은 주로 갈등의 원인이 내적 정신 체계들의 충돌보다 외부에 위협이 있을 때가 많다. 동생이 태어날 때 보이는 첫째 아이의 모습이 가장 대표적인 예인데, 동생이 태어나기 전에는 정상적이었다가 동생이 태어난 후에 침대에 오줌을 싸는 등 더 어린 시절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을 퇴행이라 할 수 있다.

반동 형성(reaction formation)
반동 형성이란 금지된 충동을 억제하기 위해 그와 반대되는 사고와 행동을 강조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반감을 가지고 있는 직장 상사가 있는데, 그 상사에게 반감을 표출할 수 없기 때문에 그와 반대되는 공손한 태도를 지나치게 보이는 경우나, 동성애 성향을 무의식적으로 감추고 있는 사람이 겉으로는 동성애에 대한 강한 혐오를 드러내며 동성애자들을 공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반동 형성은 억압과 반대 행동 표현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위(displacement)
전위는 내적인 충동이나 욕망을 관련된 대상이 아닌 다른 대상에게 분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관련된 대상이 자신에게 위협적인 대상이기 때문에, 그보다 덜 위협적인 다른 대상에게로 충동을 옮긴다. 우리의 속담 중 하나인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가 전위를 잘 설명한다. 즉, 다시 말해서 회사에서 직장 상사에게 호되게 지적당한 후 애인에게 화풀이하는 등의 행동이 전위의 예이다.

합리화(rationalization)
자책감이나 죄책감을 느끼지 않기 위해 현실을 왜곡하는 것으로, 원하는 행동을 하지 못했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을 때 그럴듯한 이유를 찾아내 자아가 상처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합리화의 예는 다양하게 찾을 수 있는데, 이솝 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신 포도’ 이야기가 좋은 예이다. 다만 합리화는 거짓말이나 변명과 같은 의식적인 행동과는 다르게 무의식적인 작용이다.

승화(sublimation)
승화란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충동을 허용되는 행위로 전환하는 것으로, 프로이트는 욕구의 대상을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것으로 바꿈으로써 억압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했다. 프로이트는 모든 예술적 창조, 일 등이 승화된 충동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즉, 예술적 창조, 일과 같이 문화 내지 문명으로 부를 만한 것들은 승화라는 방어 기제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승화의 예로는 공격적인 충동을 지닌 사람이 격투기 등의 운동 선수가 되어 그 충동을 충족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승화는 방어 기제 중에 성숙하고 건설적인 책략으로 여겨진다.

수동-공격성(passive aggression)
적대감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못할 때 수동적인 태도로 적대감이나 공격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상대방의 말에 침묵하는 것이 그 예이다.

신체화(somatization)
심리적인 갈등이 신체를 통해 병이나 증상 등의 형태로 전환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동정 등을 얻고자 과장된 행동을 하는 경향을 보인다.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극심한 두통에 시달리는 것이 그 예이다(김재은 등, 1991).

 

3. 부정이라는 방어기제의 예시

불치병 진단을 부정하고 의사가 오진하였다고 주장

시한부 선고를 받고도 미래의 계획을 장기계획으로 세운다

음주운전 시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거나 회피

가족의 죽음을 충격으로 인정하지 못하는 상황

자신의 주장이 틀렸음을 인정하기 싫어서 끝까지 우김

맛있게 먹으면 0칼로리라고 고칼로리 음식을 먹는다

연인의 문제가 있는 모습에도 그냥 넘기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