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 호르몬의 기능
- 인체의 발육과 성장
- 생체의 내부환경 조절
- 스트레스와 감염에 반응
- 생식에 영향

[뇌하수체]
1. 뇌하수체
1)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성장, 자극, 형성)
(1) 성장 호르몬
① 과다 : 거인증
② 저하 : 난쟁이
③ 연골 접합 후 과다 : 말단 비대증
(2) 갑상선 자극 호르몬
티록신(갑상선H) 분비 촉진
(3) 젖분비 (젖샘 자극) 호르몬
① 프로락틴
② 젖 분비 촉진
(4)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5) 난포 자극 호르몬
① 난포 성숙, 에스트로겐 분비 촉진
② 정자 분비 촉진
(6) 황체 형성 호르몬
① 황체 형성, 프로게스테론 분비 촉진
② 테스토스테론 분비 촉진
2)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1) 옥시토신: 자궁 수축
(2) 항이뇨 호르몬
① 수분 재흡수
② 저하 시 요붕증 (다뇨)
[갑상선]
1. 갑상선호르몬
1) 티록신
(1) 세포 에너지 대사율 조절
(2) 요오드(해조류)로 만듬
(3) 부족 = 저하증
① 영아 : 크레틴병(성장 정체, 지진아)
② 성인 : 점액수종(멍하고 체중증가)
(4) 과잉 = 항진증
① 바제도씨병=그레이브스병
② 증상 : 체중감소, 안구돌출, 식욕증가, 더위, 빈맥, 갑상선 비대, 예민
2) 칼시토닌
혈중 칼슘 인 농도 감소
[부갑상선]
1. 부갑상선 호르몬
1) 칼시토닌과 길항작용
2) 혈중 칼슘 인 농도 증가시킴 (뼈에서 칼슘 인 유리시킴)
3) 항진증 : 골연화증, 골다공증, 병리적 골절, 구루병
4) 저하증 : 근육테타니(근육경직, 경련)
[부신]
1. 부신피질
1) 당질코르티코이드(코르티솔)
(1) 단백질과 지방을 당으로 바꾸는 호르몬 → 혈당 상승
(2) 과다 : 쿠싱증후군
- 고혈당, 고혈압, 골다공증, 문페이스, 월경의 변화
2) 무기질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
(1) Na, K 이온의 균형 조절
(2) 과다 : 알도스테론증
3) 안드로겐
과다 : 여성의 부신 남성화증, 남아 성 조숙증
4) 저하증 : 애디슨병 (저혈압)
2. 부신수질
1) 에피네프린 (교감신경 흥분제)
(1) 혈당 상승, 혈압 상승, 심박동수 증가, 세기관지 확장
(심근수축, 피부와 내장 혈관 수축 → 지혈작용)
(2) 연동운동 감소, 골격근 혈관 이완
(3) 간에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전환
2) 노르에피네프린
(1) 전신의 피부와 내장 및 골격근의 혈관 수축
(2) 혈압만 상승
[췌장]
1. 인슐린 : 혈당 하강
2. 글루카곤 : 혈당 상승
[성선]
1. 테스토스테론 : 2차성징, 남성 생식기 발육
2. 에스트로겐 : 난포호르몬, 여성호르몬, 2차성징, 폐경기에 골다공증
3. 프로게스테론 : 황체호르몬, 모성호르몬, 임신지속
[송과선]
1. 멜라토닌 : 광선의 영향, 수면주기와 사춘기동안 성적 성숙 유도하는 호르몬의 변화 조절
# 혈당을 상승시키는 호르몬
글루카곤, 코르티솔, 성장호르몬, 에피네프린

챌린지 완전히 까먹고 있었네요... 카톡으로 알림이 올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