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1. 기후의 3대요소 : 기온, 기습(습도), 기류(바람)
[온열조건]
1. 인간의 체온 조절에 중요한 온열조건
기온, 기습, 기류, 복사열
2. 기온
1) 인간이 활동하기 가장 적합한 온도 18±2℃
2) 일교차, 연교차
3) 기온 역전 현상 : 상부 높고 하부는 낮다, 공기의 수직확산이 일어나지 않아 대기오염 증가
4) 열중증
(1) 열경련 : 수분 전해질의 평형 실조/서늘한 장소로 옮겨 쉬게함
(2) 열허탈 : 순환기이상, 피부혈관 확장/강심제
(3) 일사병 : 고열의 직사광선(적외선)/시원한 장소로 이동
(4) 열사병 : 체온조절중추(시상하부)의 기능장애/땀분비없다,사망률높다/ 얼음물에 담근다, 차가운 관장
3. 기습 : 대기 중에 포함된 수분량
1) 습도
(1) 절대습도 : 현재 공기중에 함유된 수증기량
(2) 포화습도 : 공기가 함유할 수 있는 수증기량
(3) 상대습도(비교습도) : 공기의 건습정도 표시
2) 특성
(1) 낮 : 태양열 흡수하여 대자의 과열 방지, 밤 : 지중열의 복사 방지하여 온도의 급격한 저하를 막음
(2) 쾌적 습도 : 40~60%
(3) 상대습도는 기온에 반비례 (온도↑습도↓)
(4) 습도계는 습, 비색법
4. 기류
1) 불감기류 : 감각하지 못하는 기류, 0.5m/sec 이하
2) 쾌적 기류 : 실내 0.2~0.3, 실외 1.0
3) 카타한란계, 카타온도계 : 실내 기류 측정도구
5. 복사열
1) 정의 : 태양의 적외선,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
2) 복사열에 의한 온감은 거리제곱에 반비례
[온열지수]
1. 감각온도 : 온습류의 요소를 종합한 체감온도, 기압(x)
2. 최적온도 : 체온조절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온도, 이상적 온열 조건 조건에 따라 달라짐
1) 주관적 최적온도 : 감각적으로 가장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
2) 생산적 최적온도 : 노동을 할 때 능률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작업온도
3) 생리적 최적온도 : 최소한의 에너지 소모로 최대의 생리적 활동을 발휘하는 온도
3. 불쾌지수 : 기온 기습에 따라 불쾌감 정도를 수치로 나타냄
70이상 10%사람이 불쾌감 호소
75이상 50%사람이 불쾌감 호소
80이상 거의 모든 사람이 불쾌감 호소
86이상 견딜 수 없는 상태
4. 습구 흑구 온도지수
제2차 세계대전, 고온장애 방지 위하여 고안된 온열 평가지수
5. 카타냉각력
인체 표면에서 열손실 정도를 측정
[기후와 보건]
1. 기후 특성에 따른 질병
1) 풍토병 : 어느 지역의 기후 등에 수반하여 그 지역에만 주로 발병하는 질병
2) 계절병
3) 기상병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