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보건(완)4 04 직업병 1. 직업병의 특징 1) 특수한 작업에서 특수하게 발생 2) 예방 가능 3) 만성 (조기발견 어렵고 진단까지 장기간 소요) 4) 특수검진으로 판정 5)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신물질이 많다2. 작업병의 종류 1) 이상 기압 (1) 잠함병 = 감압병 = 잠수병 ① 고기압, 질소, 관절염 ② 교각 건설, 터널공사, 잠수작업 ③ 예방 : 감압을 천천히, 작업 후 운동, 고지방성 음식과 술 제한 (2) 고산병 = 항공병 ① 저기압, 산소 2) 소음 (1) 판금작업, 연마작업, 착암작업 (2) 이명.. 2025. 4. 28. 03 산업재해 [산업재해의 이해]1. 산업재해 정의 업무도중 인명 손상 및 상해가 일어남2. 산업 재해 발생 원인 1) 근로자 측 (1) 피로 (2) 부주의, 실수 (3) 숙련 미달 2) 사용자 측 산업재해에 대한 안전대책과 예방대책 미비 부실3. 산업재해 예방 방법 1) 원인 관찰, 대책 세움 2) 작업 강도 시간 조절 3) 충분한 휴식 4) 올바른 자세 5) 적성에 따라 배치 & 안전 교육 6) 정신적 안정 주도록 함[산업피로]1. 산업피로 : 노동 부하에 반응하는 생체의 태도2. 산업피로 결과 : 생산성 저하, 재해발생건수 증가3. 산업피로의 대책 1) 기계 및 작업자세 인체공학.. 2025. 4. 28. 02 근로자 건강진단 [건강진단의 실시 이유와 목적]1. 1차 건강진단은 근로자 전원에게 실시2. 1차 건강진단의 목적 : 집단의 건강수준을 파악하기 위해3. 건강진단의 실시 이유 1) 근로자가 일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지 확인 2) 전반적인 건강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3) 사후 배치에 고려할 수 있게 4) 작업이 근로자의 건강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확인 4. 건강진단의 목적 1) 부적합한 근로자 색출, 신체적 심리적으로 알맞은 작업에 배치 2) 직업병의 유무를 색출, 건강상태를 관찰 3) 집단의 건강수준을 파악 4) 산업재해 보상의 근거와 질병자를 관리[건강진단의 종류]1. 일반 건강진단 : 상시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사업주가 실시2. 특수 건.. 2025. 4. 28. 01 산업보건의 의의 [산업보건의 개념]1. 국제노동기구(ILO)2. 산업보건이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 유지, 증진하기 위하여 근로자를 작업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동시에 작업환경을 건전하게 관리하는 과학적 분야 [산업보건의 목표]모든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 상태를 최고로 증진한다 [산업보건의 특성]1.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 : 산업보건 담당 행정부서, 사업장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담당 2. 산업보건의 목적과 대상 직업과 관련된 유해인자로부터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유지, 증진하여 생산성을 증진함으로써 근로자의 안녕 상태를 최고로 유지하는 것 3. 근로기준법 상의 근로시간 및 근로 규정주 5일, 주 40시간 2025. 4.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