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약정리6 05 치매 노인 간호 [치매의 정의 및 요인] 1. 치매의 정의 뇌신경 세포의 손상에 의한 지적장애 2. 치매의 원인 질환 알츠하이머, 혈관성치매, 가역성치매 [치매의 주요증상] 불안, 조증, 우울등의 감정기복 단기기억장애→장기기억장애 [치매 노인의 간호] 1. 식사시 간호 1) 졸려하거나 초조해 하는 경우 식사를 제공하지 않는다 2) 약간 무거운 숟가락을 주어 숟가락을 쥐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지 않게 한다 3) 사레가 자주 걸리면 더 걸쭉한 액체음식을 제공한다 4) 규칙적인 일과에 따라 식사한다(같은 시간, 장소, 식사도구) 5)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한다 6) 소금과 간장을 치운다 7) 작고 딱딱한 음식(사탕, 땅콩, 팝콘)은 질식위험성이 있어 피한다 2. 배설시 간호 1) 벗기 쉬운 옷을 입힌다 2) 실금한 경우 괜찮.. 2023. 11. 4. 03 노년기의 건강관리 [노인성 질환] 1. 노인성 질환의 특성 1) 특정 질병과 위험인자 사이의 관련성이 없다 2) 비전형적, 비가역적 3) 동시에 여러가지 질병 4) 의식장애나 정신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노인의 약물요법] 1. 투약 시 주의사항 1) 모르핀 : 되도록 투여금지, 투여해야 할 때는 호흡수측정, 12회 이하시 투약금지 2) 약효가 느리므로 투약을 성인보다 일찍(1시간) 3) 진정제는 성인용량의 1/2, 1/3 준다 4) 호흡기능의 증진을 위해 자주 체위변경 5) 약에 대한 감응도(반응)가 증가하므로 약용량을 적게 준다 6) 수술이나 투약전에는 방광을 비운다 7) 간기능저하(해독작용 저하), 신기능저하(축적작용, 약물중독) 8) 치매 환자는 가족에게 투약방법을 설명 [영양관리] 1. 노인기 영양요구 1) 침분비 .. 2023. 11. 4. 02 간호 기록돕기 1. 정확한 기록을 위한 요건 1) 사실 또는 관찰한 것 만을 객관적으로 기록 해야함 2) 의견이나 관찰 내용을 해석해서 기록하면 안됨 3) 우울하다(x) → 울고있다(O) 2. 기록 방법 1) 모든 기록은 검정색 볼펜, 밤번 근무자는 붉은색 볼펜 2) 기록후에는 정자로 성명을 다 써서 서명 3) 기록이 잘못된 경우 붉은 색 볼펜으로 한 줄 또는 두 줄을 긋고 'error'라고 쓴 다음 정확한 기록을 다시 한다 4) 공식적인 약어만 사용한다 5) 투약이나 치료에 대한 기록은 미리 하지 않으며 반드시 수행 후에 한다 6) 과거시제와 현재시제만 사용, 미래시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7) 환자의 병세에 변화가 생기거나 이상한 증상을 보일 때 기록한다 8) 전화처방은 전화처방임을 명기하고, 가능한 신속하게(24시간.. 2023. 3. 11. 05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소화기계의 개요]구강 → 인두 → 식도 → 위 → 소장(십공회) → 대장(맹결직) →항문 1. 물리적 소화 1) 저작운동 : 구강 2) 연동운동 : 식도 ~ 직장(위~아래), 구강x, 수축 이완 3) 분절운동 : 소장 2. 화학적 소화 : 소화액 속 소화효소 [소화관]1. 구강 1) 침샘(大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미뢰(미각세포) 2) 저작운동(o), 연동운동(x) 3) 타액 : 프티알린(탄) 2. 인두 : 공기와 음식물의 공동통로 3. 식도 : 25cm, 음식물 통로 4. 위 1) 팽대된 부위, J모양 2) 괄약근 (분문, 유문) 3) 소화의 첫 단계 4) 위액 : 펩신(단) + 위산 5) 당과 알코올 흡수 5. 소장 1) 횡주름과.. 2023. 3. 1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