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방간호(완)4

04 자연요법 관리 [추나요법] 1. 추나 : 안마, 안교, 지압, 수기,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이용하여 환자의 질병부위 체질 파악하여 치료 2. 작용 1) 통증경감, 음양 조화(음양조절) 2) 경락 소통, 기와 혈 활성화(혈액순환 촉진) 3) 근육의 균형 회복, 근 경련 상태 개선(체질강화) 4) 관절을 원활하고 부드럽게 하여 관절운동 범위 개선 3. 금기 : 출혈, 염증성질환, 골절, 관절 탈구, 월경, 임신 [부항요법] 1. 부항 : 음압 펌프질 2. 주의점 1) 자연식 병용 : 육식, 고칼로리 산성식품 섭취 시 쉽게 피로, 효과저하 2) 서서히 훈련 3) 피로감이 심할 경우 2~3일의 휴식기 필요 4) 명현이 심해지면 압력과 횟수 감소, 휴식 5) 출혈, 정맥류환자에게는 금지 [수치료법] 1. 냉온욕 : 냉탕과 온탕을.. 2023. 5. 4.
03 한방병원 간호관리의 실제 1. 맥진 = 진맥= 절진 심장박동에 의해 생긴 파동이 동맥파를 따라 말초로 전파하는 것을 요골동맥상에서 지두로 촉지하여 질병상태를 판단하는 진단 행위 [자침의 관리] * 자침과 애구(뜸)는 외치법 1. 자침 : 각종 침구를 사용하여 일정부위를 자극 2. 체위 : 누운 자세(의사는 정확한 취혈, 조작하기 편리, 환자는 편안한 자세) 체질 허약자, 정신 과민자, 예민한 초진환자, 현기증 예방 3. 침 치료에 필요한 부위를 모두 노출 4. 발침 시 주의사항 : 신체에 남은 침이 없는지 발침 개수를 재확인, 발침 후 출혈 시 지그시 눌러줌 5. 자침 시 간호 1) 환자 상태를 관찰하여 가슴이 답답하거나 현훈 시 의사에게 보고 6. 침의 종류 1) 호침 : 아프고 저릴때 2) 삼릉침 : 사열, 출혈, 발설(피뽑.. 2023. 5. 4.
02 경락 및 음양오행 학설 1. 경혈 : 뜸 부항 침 치료의 자극점 2. 어혈 ... 색전! 혈액순환이 막힘 1) 축혈 2) 통증 3) 한열이 지나치게 왕성할 때 4) 외상어혈(청자색 혈종) 5) 발생부위마다 각기 다른 증상 3. 맥진 = 절진 전승의학의 두드러진 특징을 이루는 진단법 2023. 5. 4.
01 한방간호의 유래 및 내용 [한방 간호의 유래] 1. 소문 "장기법시론" 한방 간호 중 가장 오래된 문헌, 간호역할의 중요성 엿볼 수 있다. [한방 간호의 내용] 1. 동양 의학의 주요 특징 1) 정신적인 면 > 육체적인 면 2) 인간을 대자연에서 파생된 소우주로 간주 3) 생리현상이나 병적 변화현상도 대자연의 운행과정에서 생긴 것 4) 상호 연관과 유기적 기능을 가진 통일체 2. 한방 간호의 역할 1) 정신 (1) 7정 : 희(기쁠), 노(성낼), 우(근심), 사(생각), 비(슬플), 공(두려울), 경(놀랄) (2) 노-간, 희-심, 사-비, 비우-폐, 공경-신 2) 기후 (1) 병실은 한온을 적당히 유지 3) 음식 (1) 마음의 병은 온식을 금하며, 폐의 병은 한식을 금한다 (2) 오미 간-신(매운것), 심장-함(짠것), 비장.. 2023.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