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의 이해]
1. 산업재해 정의
업무도중 인명 손상 및 상해가 일어남
2. 산업 재해 발생 원인
1) 근로자 측
(1) 피로
(2) 부주의, 실수
(3) 숙련 미달
2) 사용자 측
산업재해에 대한 안전대책과 예방대책 미비 부실
3. 산업재해 예방 방법
1) 원인 관찰, 대책 세움
2) 작업 강도 시간 조절
3) 충분한 휴식
4) 올바른 자세
5) 적성에 따라 배치 & 안전 교육
6) 정신적 안정 주도록 함
[산업피로]
1. 산업피로 : 노동 부하에 반응하는 생체의 태도
2. 산업피로 결과 : 생산성 저하, 재해발생건수 증가
3. 산업피로의 대책
1) 기계 및 작업자세 인체공학적으로
2) 작업환경의 유해인자를 개선하고 정비 정돈
[작업환경 관리]
1. 목적
1) 직업병 예방
2) 산업재해 예방
3) 산업 피로 억제
4) 인간의 건강 보호
2. 유해 인자에 대한 관리 방법
1) 대치
(1) 덜 유해하거나 덜 위험한 물질로 대신 사용
(2) 가장 기본적이고 우선적이고 효과적이고 우수한 관리대책
(예) 가연성 물질 유리병→철제통
벤젠 세척공정 수동→자동, 벤젠→톨루엔, 크실렌
페인트작업 분무식→전기흡착식
2) 격리
유해물질 발생 작업공정을 완전히 외부와 차단하는 것
예) 장벽, 원격조정
3) 환기
계속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유해물질을 희석하여 농도를 낮추는 방법
4) 개인보호구 사용
똑같은 근무시간, 여건 속에서 보호구의 착용은 직업병에 영향을 줌
(1) 호흡용 보호구
호흡기(유해물질의 침입 경로 중 가장 위험한 경로)
송풍마스크, 산소마스크, 방독마스크
(2) 차음 보호구
귀마개와 귀덮개는 장단점이 반대
'산업보건(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 직업병 (0) | 2025.04.28 |
---|---|
02 근로자 건강진단 (0) | 2025.04.28 |
01 산업보건의 의의 (0) | 2025.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