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1. 혈액의 성분
1) 혈장 (55%)
(1) 혈장 단백질 (7%)
① 알부민 : 삼투압 조절
② 글로불린
i αβ글로불린 : 지방 운반
ii γ글로불린 : 항체
③ 피브리노겐 : 혈액응고 관여
(2) 물 (92%)
(3) 기타 (1%)
무기질, 당분, 아미노산, 호르몬...
2) 혈구 (45%)
(1) 적혈구(RB③ 400~500만원 월급
① 산소운반(산소친화성)
② 헤모글로빈(H② - 혈색소
③ 가장 많다
④ 원반형, 핵이 없다
⑤ 수명 120일, 생성:골수, 파괴:간, 비장, 골수
⑥ 균형 맞춤(점성도, pH 수소이온 산도, 전해질) -제일 많아서
(2) 백혈구(WB③ 7000~8000 원 하루용돈 밥값
① 식균작용, 면역(방어), 재생, 치유
② 가장 적다, 가장 크다, 핵 有
③ 종류
i 과립 :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과호중산염!!!
ii 무과립 : 림프구, 단핵구
(3) 혈소판(PLT platelet) 15~45만원 한달용돈
① 가장 작다
② 혈액응고 관여
③ 방사선 장해 시 가장 먼저 감소됨
2. 혈액의 기능
1) 물질 운반 (영양분, 노폐물, 산소, 탄산가스, 호르몬)
2) 신체 방어
3) 유지기능 ( pH, 점도, 전해질)
4) 출혈방지
5) 체온 유지
3. 혈액응고 과정
1) 혈액응고인자
(1) 피브리노겐
(2) 프로트롬빈
(3) 칼슘
(4) 혈소판
(5) 비타민K
(6) 간
4. 혈액형
만능공혈자 O↔O ↙ ↓ ↘ A↔A B↔B ↘ ↓ ↙ AB↔AB 만능수혈자 |
[심장]
1. 심장 판막의 위치
1) 이첨판막(승모판막) :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2) 삼첨판막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
3) 대동맥판막 : 대동맥 입구
4) 폐동맥판막 : 폐동맥 입구
2. 판막의 역할 : 혈액 역류 방지
3. 심장 가장 두꺼운 부위 : 좌심실 벽 (전신에 혈액 공급하기 위해서)
4. 혈액 순환 순서
1) 나갈 때 : 실, 동맥
2) 들어올 때 : 방, 정맥
3) 좌측은 동맥혈 우측은 정맥혈
4) 체순환(대순환)
좌심실->대동맥->전신(모세혈관)->대정맥->우심방
5) 폐순환(소순환)
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
6) 동맥혈 (산소 ↑ 이산화탄소 ↓)
폐정맥, 좌심방, 좌심실, 대동맥, 간동맥
7) 정맥혈 (산소 ↓ 이산화탄소 ↑)
대정맥,우심방, 우심실, 폐동맥
5. 동방결절 : 심장의 전기적 자극을 주는 곳
6. 심낭액 : 심장의 수축과 이완시에 마찰을 방지
7. 요골동맥 : 맥박 측정 시 많이 사용
8. 수축기 혈압 : 심장 수축 시 혈압
9. 이완기 혈압 : 심장 이완 시 혈압
[혈관]
1. 동맥 (artery)
1) 심장에서 나가는 혈관
2) 압력이 높다
3) 벽이 두껍다 (3중막-외,중,내막)
4) 탄력성이 강하다
5) 관상동맥 : 심장에 영양분, 산소 제공하는 동맥
2. 모세혈관 (capillary)
단일층 (가스, 영양분, 노폐물 등 물질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3. 정맥 (vein)
1) 혈액을 심장으로 모으는 혈관
2) 압력이 낮다
3) 판막 (혈액 역류 방지)
4) 탄력이 적다
5) 문정맥 : 소장, 위를 거쳐 영양분이 충분한 혈액을 간으로 운반하는 정맥
6) 하대정맥 : 복강과 하지에 있는 정맥혈을 모아 심방으로 들어오는 혈관
[조절기전]
1. 심장박동수의 조절
1) 체온이 높아지면 박동수가 증가
2)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에피네프린이 분비되어 박동수와 박출량이 증가
3)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박동수가 증가
4) 혈액 내 탄산가스의 분압이 높아지고 산소의 분압이 낮아지면 박동수가 증가
[림프계]
1. 림프의 기능
1) 식균작용
2) 특수 면역작용
3) 부종 예방
2. 면역
1) 선천성 면역 : 인종, 민족, 개인의 특성
2) 인공 능동면역 : 예방접종 후 면역 획득
3) 인공 수동면역 : 다른 사람의 혈청 속 감마글로불린(항체)을 주사
4) 자연 능동면역 : 감염 후 면역 획득 (홍역, 수두)
5) 자연 수동면역 : 모체 태반으로부터 면역 획득(6개월 지속)
'인체구조와 기능(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생식기계의 구조와 기능 (0) | 2024.09.11 |
---|---|
08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0) | 2023.03.11 |
06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0) | 2023.03.10 |
05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0) | 2023.03.10 |
04 근육계의 구조와 기능 (0)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