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온 BT
1. 고막 체온
1) 가장 정확한 심부체온 측정 ( 체온조절중추인 시상하부와 혈류를 공유하므로)
2) 측정 시 어른 : 후상방 , 소아 : 후하방 귓바퀴를 잡아당겨 외이도를 직선으로 만듬
3) 70~75% 알코올로 소독
2. 액와 체온
1) 무의식 환자의 체온을 정확히 측정 가능
2) 마른 수건으로 두드려서 땀 제거 (문지를 경우 열 발생)
3) 체온 측정 부위를 액와 중앙에 놓고 상박은 옆구리 하박은 가슴위에 놓는다.
3. 구강 체온
1) 입으로 체온을 잴 수 있는 사람 (말하거나 먹는거 가능)
2) 흡연 후, 음식 섭취 후 -> 10분 뒤 측정
3) 뜨겁거나 찬 음식 섭취 후 -> 30분 뒤 측정
4. 직장 체온
1) 가장 정확한 체온 측정
2) 수용성 윤활제 사용 ( 항문에 상처 입지 않게)
3) 배꼽 방향을 향해서 2.5~4cm 삽입
5. 체온 상승 시 간호
1) 국부적 냉찜질
2) 구강간호 (열나면 구강점막이 건조해져서 감염이 쉬움 의식이 있을경우 물섭취 없을경우 생리식염수로 닦아줌)
3) 알코올과 물수건으로 닦아줌
4) 실내온도를 낮추어줌
6. 체온측정 시 주의 사항
- 체온 측정 시 갑자기 열이 높은 환자를 발견하면 먼저 체온계에 이상유무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잠시 후 체온을 다시 측정하고, 이상이 있으면 다른 체온계로 다시 측정하여 보고함
# 맥박 Purse
1. 정상범위 60~100회/분
나머지는 전부 이상 맥박 -> 간호사 의사에게 보고
2. 촉지할 수 있는 맥박
측두동맥, 경동맥, 상완동맥, 요골동맥, 대퇴동맥, 슬와동맥, 족배동맥
3. 맥박을 측정할 때 가장 많이 쓰는 동맥은?
요골동맥 (손목 안쪽에서 엄지손가락을 연결하는 선, 둘째 셋째 손가락끝으로 측정)
4. 반드시 맥박을 측정하고 줘야 될 약
디기탈리스 (강심제, 디곡신) - 맥박이 60회 이하이면 주면 안되는 약, 심박동수를 감소, 심박출량 증가
5. 맥박결손
한명은 심첨맥박 - 좌측 중앙 쇄골선, 4~5번째 늑골간이 만나는 지점 1분간 청진
한명은 요골맥박 (말초)
동시에 측정!
# 호흡 RR
1. 정상범위 12~20회/분
2. 호흡중추 뇌의 연수
3. 호흡수를 측정하고 줘야 하는 약물
1) 마약성 진통제인 데메롤과 모르핀 (호흡을 억제시킴)
2) 투여 전 호흡수가 12회 이하이면 주면 안됨
3) 투여 후 호흡수가 10회 이하이면 의사에게 보고
4. 이상 호흡
1) 체인스토크스 호흡 (임종 시)
2) 쿠스마울 호흡 (당뇨성 혼수 시)
5. 호흡수 측정
- 맥박을 측정한 후 호흡을 측정한다는 말을 하지 않고 대상자의 손목을 잡은 채로 가슴의 움직임으로 호흡의 깊이, 호흡수, 호흡의 리듬을 측정
# 혈압 BP
1.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
2. 정상범위 120/80mmHg
3. 맥압 = 수축기압-이완기압 (정상범위 30~50)
4. 나이가 증가할 수록 증가
5. 정확한 측정 - 팔을 심장과 같은 높이로
# 성인 정상 활력징후 수치
'기본간호(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검사 돕기 (1) | 2023.03.21 |
---|---|
05 감염관리와 무균술 돕기 (1) | 2023.03.17 |
04 건강사정 돕기 (1) | 2023.03.12 |
02 간호 기록돕기 (0) | 2023.03.11 |
01 병원환경 조성 돕기 (0) | 2023.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