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간호(비)

08 개인위생 돕기

by AN24 2023. 4. 2.
반응형

[목욕]

# 치료적 목욕 : 의사의 지시에 의해서 시행

냉목욕 : 해열

온목욕 : 근육통 경감

중조목욕 : 피부진정효과, 전신 소양증

 

# 노인환자나 피부병이 있는 환자는 알코올 목욕을 금한다

# 열이 많은 환자는 수분 대사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 3000~3500cc의 수분 필요

 

1. 침상목욕

     1) 목적

          (1) 혈액순환 증진

          (2) 환자의 전신 피부상태 관찰

     2) 물온도 : 43~46도

     3) 순서 : 얼굴-손 팔-가슴-복부-발 다리-등 둔부-음부

               (눈안쪽->눈바깥쪽, 눈꼽 안낀 눈->눈꼽 낀 눈)

     4) 닦는 방향

          (1)  말초 -> 중앙

               혈액 순환을 위해 심장쪽으로

          (2) 상지 : 팔->어깨, 하박->상박

          (3) 하지 : 발끝->허벅지

          (4) 복부 : 배꼽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장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

     5) 시간 : 5~10분

     6) 관절 범위 운동 실시

 

2. 좌욕

     1) 물온도 : 40~43도

     2) 자세 : 쪼그려 앉지 말고 걸터앉기

     3) 1회 5~10분, 하루 3~4회씩

 

3. 손발톱 간호

     손톱은 둥글게 발톱은 일자로(내성발톱 예방)

 

4. 통목욕

     1) 문 밖에 '사용중' 팻말을 단다

     2) 환자에게 20분 이상 물속에 있지 않도록 한다

     3) 목욕 중 어지러움, 실신, 기절을 하면

          (1) 통의 물 빼기

          (2) 머리를 수평 또는 아래로

          (3) 다리는 올린다

 

5. 영아 목욕

     1) 조산아 및 허약 아기는 통목욕 보다 스펀지 목욕이나 오일 목욕 시행

     2) 제대소독은 70% 알코올

 

6. 미온수 스펀지 목욕

     1) 고열환자 해열 목적 (30~33)

     2) 복부는 제외 (복통 및 설사 유발) 서혜부, 경정맥, 겨드랑이같이 혈관부위

     3) 체온이 내려갈 때까지 3번 반복시행

     4) 시행 후 20~30분 지난 후 v/s 체크

 

7. 회음부 간호

     1) 체위 : 배횡와위

     2) 방향

          (1) 치골->항문 (요도->질->항문)

          (2) 대음순->소음순->요도

     3) 한번 닦고 버린다

     4) 남자

          (1) 포경수술을 안 했을 경우 포피를 뒤집어 닦는다

 

8. 등마사지

     1) 천골 부위 붉게 변했을 때

          (1) 마사지를 중단

          (2) 체위 변경 (측위)

    

[구강 간호]

1. 일반 구강 간호 = 양치

 

2. 특수 구강 간호

     1) 대상 : 무의식환자, 구강섭취 불가능 환자, 산소용법 중인 환자

     2) 체위 : 반좌위, 좌위, 고개를 옆으로 (기도 흡인 예방)

     3) 방법 : 생리 식염수를 적신 거즈나 코튼볼을 포셉으로 입안을 닦음

     4) 주의사항

          (1) 포셉이 치아에 닿지 않도록 한다

               ① 치아나 잇몸손상 예방

          (2) 과산화수소수를 사용

               ① 마르고 백태 낀 혀의 죽은 조직 제거

               ② 구취제거

               ③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강 용액

          (3) 당뇨환자나 출혈소인이 있는 환자에게는 부드러운 손놀림으로 작은 외상도 생기지 않도록 주의

 

3. 의치 간호

     1) 의치 세척 방법

          (1) 찬물(변형방지)

          (2) 치약X, 의치전용 세정제

          (3) 닦는 동안 세면대나 싱크대 위에 수건 깔기 ->떨어져서 파손되는 것 방지

     2) 의치 보관 방법

          (1) 찬물이 담긴 뚜껑 있는 컵에 보관

               why? 의치는 뜨거운 물과 건조에 변형되기 쉬움

 

[두발 간호 : 침상 세발]

1. 환자를 침상 가장자리로 옮긴다

2. 침대의 높이는 허리 높이로 올려준다

반응형

'기본간호(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배변돕기  (0) 2023.04.04
09 식사돕기  (0) 2023.04.02
07 침상만들기 돕기  (0) 2023.03.23
06 검사 돕기  (1) 2023.03.21
05 감염관리와 무균술 돕기  (1) 2023.03.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