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의 정의]
1. 보건교육이란?
1) 지역사회 간호 업무 중 가장 포괄적이고 중요한 것
2) 지식, 태도, 습성(실천, 행동, 행동의 변화)
3)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거나 가지고 있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건강을 자기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태도를 가지고 건강에 올바른 행동을 일상생활에서 습관화하도록 돕는 교육과정
[보건교육의 원리 및 특성]
1.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
주의집중(자극)→흥미→욕구→신념→실천→만족
2. 학습자의 신체적 준비
1) 비만인 초등학생을 보건 영양교육시 학부모와 함께 교육시켜야 효과가 높음
2) 인슐린 자가주사 교육 시 시력 장애나 손의 움직임이 자유로운지를 살핌
3. 학습동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태도와 행동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영향을 줌
4. 보건교육 대상자에 대해 고려할 사항
1) 보건교육은 대상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태도 변화가 잘 나타난다 예) 초등학생, 청소년
2) 청년을 대상으로 금연 교육 실시, 일주일 경과(금단증상 대처법에 대해 교육), 금연교육 종료(목표달성여부 확인)
5. 보건교육 홍보활동
1) 단시간 내에 보건교육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지역사회 주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홍보활동 필요
2) 홍보활동은 국가차원에서 보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단기간에 국민지지를 얻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대중매체 이용, 포스터 사용
3) 벽보판은 지역사회 주민의 왕래가 빈번한 곳에 설치
6. 보건교육의 특성
1) 보건교육의 원칙
(1) 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2) 보건교육 후 효과에 대한 평가는 반드시 한다
(3) 보건교육 계획 시 대상자 요구를 반영하고 적합한 교육방법을 선택한다
(4) 보건교육 수행 시 교육 대상자가 자기 발전 참여 의도가 있어야 한다.
2) 보건교육의 일반적 내용
(1) 지역사회 간호업무 중 보건교육은 가장 포괄적이고 중요하다
(2) 보건교육 중 학교보건은 장기적인 행동 변화에 중요하며, 가장 능률적이며 효과적이다
(3) 보건교육의 대상은 지역사회 주민 전체이다
(4) 보건교육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자와 함께 계획하는 것이다
3) 효과적인 보건교육시 유의할 사항
(1) 주의집중-흥미-욕구-신념-실천-만족
(2) 지역사회보건과 병행해서 교육시키도록 한다.
4) 보건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조명, 소음, 의자의 배열, 교육장의 크기, 학습자들의 수업태도
5) 보건교육의 내용 선정 시 고려할 사항
(1) 피교육자의 흥미 및 관심
(2) 피교육자의 사전 경험이나 지식
(3) 피교육자의 교육수준
(4) 피교육자의 요구
6) 보건교육 준비 시 반드시 고려할 사항
(1) 장소 및 대상 결정
(2) 교육내용 결정
(3) 방법 선택
(4) 시행 후의 평가
(5) 피교육자의 이해 (가 장 중 요!)
'보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보건교육 방법 (0) | 2023.12.04 |
---|---|
02 보건교육 계획 및 평가 (0) | 2023.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