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치과(완)7

02 구강생리학 1. 맹출 : 치아가 발생해서 석회화가 되면 치아가 치육을 뚫고 구강 내에 출현 1) 15~16세 : 사랑니를 제외하고 석회화 완료 2) 18세 : 사랑니 포함 석회화 완료 2. 교환 : 유치(젖니)와 영구치가 바뀌어 나는 것 1) 하악 유중절치 : 제일 먼저 교환됨 3. 맹출 곤란 1) 맹출은 생리현상으로 아무 이상 없이 진행됨 2) 허약아동은 가끔 유치맹출기에 식욕부진, 불쾌감, 설사, 변비, 생치열을 나타냄 4. 삼차신경 : 5번뇌신경, 치아 분포 신경 5. 치관의 구성 1) 치면 : 치관의 여러 개 면 2) 교합면 : 저작을 담당하는 면 6. 치아의 기능 1) 저작 2) 연하, 소화, 흡수를 도와줌 3) 자음계의 성음 4) 미용 5) 공격과 방어 2023. 4. 11.
01 치의학과 구강해부학 # 치주낭 = 브이자 고랑 풍치의 원인인 치석이 쌓이는 곳 [치아조직] 1. 법랑질 = 사기질= enamel 1) 치아 맨 바깥쪽 2) 씹는 부분 3) 치아 우식증 예방부위 4) 인체 부위 중 가장 단단 5) 불소 침착 잘되는 조직 2. 상아질 1) 법랑질의 충격 흡수하여 신경 보호(완충지대) 2) 가장 많이 차지하는 치아조직 3) 상아질 노출 시 통증(신경섬유 예민) 3. 치수 1) 치아의 중심에 위치 2) 신경과 혈관 존재 3) 혈관은 신경 유지하고 상아질에 수분 공급 4. 백악질 치아를 악골에 고정 5. 치주인대 = 치근막 치아가 부딪칠때 느낌을 신경에 전달 [치아 이름과 치식] 영구치 32개 유치 20개 중절치-측절치-견치-제1소구치-제2소구치-제1대구치-제2대구치-제3대구치 유중절치-유측절치-유.. 2023. 4. 11.
05 구강보건법 [총칙] 1. 구강보건법 : 국민의 구강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구강보건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민의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을 증진함을 목적 2.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해 수돗물에 불소농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 조정하는 사업 [구강보건사업기본계획] 1. 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 : 보건복지부장관은 5년마다 기본계획 수립 2. 구강보건사업의 통보 1) 보건복지부장관 기본계획을 수립한 경우 9월30일까지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에게 통보 2) 시도지사는 기본계획의 세부계획을 수립한후 10월31일까지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통보 3) 시장군수 구청장은 구강보건사업에 관한 시행계획을 수립한 후 11월30일까지 시도지사에게 통보 4) 시도지사는.. 2023.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