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식2

04 병원식이 [식사 형태에 따른 식이] 1. 일반식 영양소의 제한이나 변경이 필요없는 식이 2. 경식 또는 반고형식 씹고 삼키기 편하게 조리된 식사, 반찬을 다져서 제공 3. 연식 (액체+반고형식) 1) 소화하기 쉽게 부드럽게 조리 2) 섬유질, 향신료 제한 3) 소화기계 질환, 수술 후 소화기능 저하 노인(연두부 점도) 예) 죽, 연두부, 가지미찜, 잘익은 바나나 4. 유동식 (액체) 1) 수술 후 환자, 연하곤란 환자 2) 편도선 절제 수술환자(찬 유동식) 3) 고열환자 4) 단기간 급식(에너지, 영양소 부족한 식이) 예) 맑은 국물, 미음, 주스 5. 이양식 일반식으로 옮겨가는 식이 6. 관급식 생명유지를 위해 영양혼합물 공급 예) 위관영양 [질병 조절을 위한 특별 식이] 1. 만성 신부전 1) 저염, 저수분,.. 2023. 6. 18.
09 식사돕기 # 수술 후 식이 순서 1. S.O.W (sips of water) : 물을 조금씩 먹는다 2. 유동식이(liquid diet, LD) : 미음 3. 연식이(soft diet, SD) : 죽, 가자미찜 4. 일반식이(regular diet, RD) [일상적인 식사 돕기] 1. 환자 준비 1) 식욕 촉진을 위해 물로 입안을 헹구어 준다 2) 편안한 자세에서 먹도록 해준다 3) 식사시간에 고통이 없도록 해준다(식사 전 불유쾌한 시술이나 드레싱 금지, 식간에 실시) 4) 연하곤란이 있는 환자는 신맛이 강한 음식을 제한한다(타액분비 증가로 흡인 유발함) 5) 기도로 흡인 시 가장 먼저 큰 기침을 하도록 한다 2. 식사 돕기 1) 혼자서 먹을 수 있는 환자는 가능한 범위까지 혼자서 식사하도록 지지 2) 혼자서 먹.. 2023.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