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영양(완)

04 병원식이

by AN24 2023. 6. 18.
반응형

[식사 형태에 따른 식이]

1. 일반식

     영양소의 제한이나 변경이 필요없는 식이

 

2. 경식 또는 반고형식

     씹고 삼키기 편하게 조리된 식사, 반찬을 다져서 제공

 

3. 연식 (액체+반고형식)

     1) 소화하기 쉽게 부드럽게 조리

     2) 섬유질, 향신료 제한

     3) 소화기계 질환, 수술 소화기능 저하 노인(연두부 점도)

     ) , 연두부, 가지미찜, 잘익은 바나나

 

4. 유동식 (액체)

     1) 수술 환자, 연하곤란 환자

     2) 편도선 절제 수술환자( 유동식)

     3) 고열환자

     4) 단기간 급식(에너지, 영양소 부족한 식이)

     ) 맑은 국물, 미음, 주스

 

5. 이양식

     일반식으로 옮겨가는 식이

 

6. 관급식

     생명유지를 위해 영양혼합물 공급

     ) 위관영양

 

[질병 조절을 위한 특별 식이]

1. 만성 신부전

     1) 저염, 저수분, 저단백, 칼륨과 제한

     2) 신장질환시 소변으로 노폐물 배출이 어려워짐(질소성노폐물,K,P)

     3) 투석 후에는 적절한 단백질 섭취 가능

 

2. 고혈압과 심장질환

     1) 저염, 저탄수, 저지방

     2) 칼륨식이 (칼륨이 수분과 나트륨의 배설을 도와 혈압을 낮춤)

     3) 염분은 조직속에 수분을 축적하는 성질이 있음

 

3. 당뇨병

     1) 저탄수(단순당 제한), 열량조절, 탄단지6:2:2

     2) 저혈당 요구르트, 주스, 설탕물 (의식없을때 포도당주사, 글루카곤주사)

 

4. 간질환

     1) 고열량식(고탄수, 고단백, 고비타민), 저지방-간이 일을 안하도록

     2) 복수가 심하면 저염, 저수분

     3) 간성혼수시 저단백(암모니아)

 

5. 위장질환시

     1) 소화성 궤양 : 위정체시간을 짧게, 자극 적도록, 우유크림 피함

     2) 만성변비 : 지방섭취증가, 고섬유질, 냉수

     3) 만성 설사 : 수분전해질균형, 달걀, 생선, 닭고기, 쇠고기, 돼지고기

          금지(냉음료, 고섬유질, 해조류, 발효성음식)

     4) 절제 : 소량씩 자주, 고지방, 고단백, 저탄수(십이지장 없음), 저수분

     5) 장수술 : 올바른 배변 습관, 수분 충분히 섭취, 섬유질, 가스나 냄새유발음식 제한

 

6. 고지혈증

     1) 저탄수(단순당), 저지방(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고섬유질

 

7. 결핵 : 모든 영양소 먹어야 (특히 동물성 단백질, 계절식품)

 

8. 통풍 : 저퓨린식이(달걀, 감자, 우유, 치즈, 토마토, 곡류, 두부)

9. 비만 : 저지방, 저탄수, 식이조절과 운동

반응형

'기초영양(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영양 상태 판정  (0) 2023.06.18
02 영양과 에너지 대사  (0) 2023.06.03
01 영양과 영양소  (0) 2023.05.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