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간호 돕기]
1. 일반위생
1) 건강한 피부 유지 : 단백질 공급, 체위교환,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
2) 구강위생 : 칫솔질
2. 영양 공급 : 소량 씩 자주
3. 수분 균형 유지 :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4. 감염예방 : 손씻기
5. 검사물 수집 돕기
1) 요검사물 : 수집주머니 사용, 지연시 냉장보관
2) 혈액 검사물 : 선천성 대사이상검사시 수유 후 발뒤꿈치를 찌름(2~7일 24~72시간내에 하는것이 좋음)
6. 놀이
1) 치료적 놀이 : 정서적 분출구 제공
7. 분리불안 : 부모와의 분리, 낯선 사람들, 바뀐 일상생활으로 인해 성장, 발달이 저해 될 수 있다.
떠나는 이유와 언제 돌아올것인지 설명한다
8. 유아의 투약
1) 상체를 상승
2) 쓴 약을 달다고 속이지 않는다
3) 쓴약은 과즙이나 꿀물에 섞어 먹임
4) 약 먹은 직후 토할경우 10분 후 다시 줌
5) 약 먹고 20~30분 후에 토한 경우 다시 안줌
6) 체온 높으면 해열제 처방받고 먹인 후 30분 후 재측정
[아동의 흔한 건강 문제에 대한 간호 돕기]
1. 고열
1) 미온수 또는 얼음베개, 발은 따뜻하게
2) 체온보다 2도 낮은 미온수로 15~20분 닦아줌
3) 35~50% 알코올 마사지
4) 정확한 체온을 잰 후 간호사에게 보고, 반드시 30분 후에 재 측정
2. 탈수
1) 증상 : 기면, 창백, 건조, 천문과 눈이 함몰, 근육의 탄력성 감소, 체중 감소, 소변농축과 핍뇨, 탈수열
2) 수분 공급하면 증상 좋아짐
3) 탈수가 잘 오는 이유
(1) 수분교환율 7배 높다
(2) 세포외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3) 체중보다 체표면적이 넓다, 대사율이 높다
(4) 신장이 미성숙하여 체액량을 유지할만큼 소변을 충분히 농축할 수 없다
4) 간호
(1) 끓인 물에 설탕 첨가하여 식혀 먹임
(2) 수분 전해질 균형 맞춰줌
(3) 증상 관찰, 피부간호
(4) 피부 청결, 체위변경
(5) 설사 시 항문 체온측정 금지
3. 구토 : 측위, 고개를 옆으로
참고) 청색증 : 거꾸로 들고 등치기
4. 경련
1) 간호
(1) 기도 유지(혀 눌러주기)
(2) 단추 풀기
(3) 위험한 물건 치우기
(4) 병실 어둡고 조용하게
(5) 비닐이나 고무천 깔기
2) 금지 : 억제대, 수분섭취, 마사지, 이동
3) 열성경련
(1) 원인 : 고열
(2) 간호 : 고개 옆으로, 미온수 목욕, 해열제, 심한경련(항경련제)
5. 변비 : 관장액 250~300cc, 좌약
6. 소아천식
1) 알레르겐 노출 최소화
2) 반좌위
3) 물걸레 청소
7. 소아 중이염
1) 6개월~2세 발생빈도 높음
2) 간접 흡연도 원인
3) 누워서 수유(인공영양)
4) 유스타키오관 넓고 곧고 짧아서
8. 신경성 식욕부진 : 가족치료
9. ADHD : 12세 이전
10. 사구체 신염
1) 원인 : 자가면역질환, 상기도 감염
2) 증상 : 단백뇨, 혈뇨
3) 검사 : 신장기능검사(BUN/Crea), 요비중(매일 측정)
4) 간호
(1) 부종 : 저염, 저수분(탈수 올 수 있어서 아이의 상태를 보고 결정)
(2) 저단백, 고탄수
(3) 상기도 감염 환자 피함(재발이 잘된다)
(4) 요비중 I/O, 체중 매일측정
11. 구개파열
1) 입천장 파열됨, 교정수술 필요
2) 간호
(1) 팔꿈치 억제대 사용하여 손이 닿지 않도록
(2) 젖꼭지, 노리개, 빨대 금지(수술부위 자극함)
(3) 약물 점적기로 수유, 수유 전후 상체 높임
(4) 청색증 관찰
12. 백혈병
1) 미성숙 백혈구 증가
2) 고열량 고단백 식이
3) 아스피린, 활발한 운동 금지
4) 모든 암환자는 감염예방 중요
[전염성 질환]
1. 홍역
1) 코플릭 반점, 전구기(카타르기)가 전염성 강함
2) 결막염 : 빛에 예민하므로 밝은 조명 피하고 커튼쳐서 어둡게
3) 소양증 : 중조수나 황산마그네슘, 전분 목욕, 칼라민 로션
4) 단독접종 : 라이루겐
2. 풍진
1) 태아 선천성 기형 : 소두증, 백내장, 난청, 심장질환, 농아
2) 초기에 앓으면 유산권고
3) 가임기 여성은 풍진 항체 있는지 검사하고 없다면 예방접종 최소 1개월 후 임신
3. 수두
1) 수두 바리셀라바이러스
2) 증상 : 몸통 → 얼굴, 사지 (수포), 흉터를 남기지 않는다
2) 간호 : 목욕(중조수, 황산마그네슘, 전분), 칼라민 로션, 팔꿈치 억제대나 장갑, 헐렁한 옷 입힌다
4. 디프테리아 : 시크검사, 기관절개술
5. 폐렴구균 : 항생제 투여
6. 뇌수막염 : 구토, 두통, 두위증가, 천문 팽창, 두피정맥 팽창, 두개 봉합선 분리, 상체를 30도 올려줌
7. 유행성 이하선염 : 바이러스, 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유동식
8. 일본뇌염 : 빨간집모기, 돼지, 심할 경우 의식장애, 혼수상태, 불안, 전신경련, 12~24개월 예방접종
9. 성홍열 : 연쇄상구균, 딕테스트, 딸기혀(고양이혀)
10. 백일해 : 균, 음식 조금씩 자주 공급
11. A형간염 : 카타르성 황달, 전염성 간염, 12~23개월 예방접종, 식기 구별하고 음식을 같이 먹지 않는다, 격리 필요없음(공기전파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