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신생아의 분류]
1. 미숙아(조산아) : 37주미만 출생한 신생아
1)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큼
2) 피부 : 분홍색, 주름짐, 솜털, 얇다(감염 민감), 피하지방 없거나 적다
3) 개구리 모양
4) 발달 미약
5) 반사가 없거나 약함
6) 체온유지 어려움
7) 빈번한 무호흡(호흡중추 미숙), 흉골부위 함몰
2. 과숙아 : 42주 이후 출생한 신생아
1) 솜털이 없고 머리카락 많음
2) 태지가 감소, 짙은노랑, 초록색
3) 손톱이 길고 피부색 창백, 손발바닥 주름 많음
3. 저체중 출생아 : 출생체중이 2.5kg이하인 신생아
[고위험 신생아 출산 원인 및 예방]
[고위험 신생아 간호 돕기]
1. 미숙아 간호의 4대 목적
호흡유지 - 보온(체온유지) - 감염예방 - 영양공급
2. 일반간호 돕기
1) 호흡 유지
(1) 미숙아 간호에서 최우선은 호흡유지
(2) 내원 시 가장 먼저 살펴야 할 사항은 기도폐쇄여부
(3) 무호흡 발견 시 먼저 부드러운 촉각자극으로 호흡 자극, 호흡이 돌아오지 않으면 흡인 후 좌측이 하고 산소 공급
2) 체온 유지
(1) 신체 표면이 체중에 비해 매우 크고 체온조절중추가 미숙
(2) 실내온도 22~26도
(3) 보육기 온도 30~32도
(4) 보육기 습도 55~65%
(5) 보육기 간호
① 24~72시간 금식, 체위변경 시행
② 문을 최소한으로 열고 미숙아를 만지는 횟수를 적게 함(온도손실, 열량소모, 감염 예방)
③ 보육기를 먼저 보온한 후 신생아를 눕힌다
④ 이중벽과 덮개는 산소농도의 변화, 가습의 증발, 열의 방출을 막는다(열전도유지 X)
3) 감염 방지
손씻기
4) 영양 공급
(1) 연하반사가 미숙하면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위관영양 실시
(2) 혈액응고 과정을 돕기 위한 비타민 K
5) 목욕
2.5kg이상시 목욕 가능 5~10분 시행
목욕 불가능한 경우 오일마사지나 타올로 닦아줌
3. 생리적 합병증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간호 돕기
1) 고빌리루빈혈증 : 광선요법
옷을 벗긴 채 형광 불빛에 노출되도록, 체위변경, 안대착용
2) 신생아 용혈성 질환
(1) 태아적아구증(Rh-모체와 Rh+둘째아기)
(2) ABO부적합증
3) 대사합병증
(1) 저혈당증
(2) 저칼슘혈증
4) 특발성 호흡장애 증후군(초자양막증)
(1) 폐의 계면활성제 부족으로 폐성숙이 미숙하여 호흡곤란이 초래
(2) 간호 : 산소공급, 계면활성물질 투여
5) 신생아 경련 : 호흡곤란으로 뇌 산소 부족해져서 비가역적인 뇌손상을 유발
6) 수정체 후부 섬유 증식증(미숙아 망막증)
(1) 고농도 산소를 장기간 흡입 시 나타남
(2) 30~40%이하의 저농도 산소 공급함
4. 감염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간호 돕기
1) 괴사성 장염
(1) 금식, 위관삽입으로 체액이나 가스 배출
(2) 수분과 전해질 균형 맞춰줌
(3) 비경구영양
(4) 구강 수유 다시 시작시 멸균수 제공
(5) 손씻기
2) 파상풍
(1) 호흡상태 관찰
(2) 경련발생때문에 방안을 어둡고 조용하게 산소공급, 체위변경 금지
3) 임균성 안염
(1) 1%질안은 + 1~2분후 n/s 세척
(2) 테트라사이클린
(3) 에리스로마이신
5. 모체 요인 관련 고위험 신생아 간호 돕기
1) 당뇨병 모체에서 출생
저혈당증 치료
2) 마약중독 모체
댓글